"Sorry Elon Musk. Hyundai Is Quietly Dominating the EV Race(일론 머스크 미안. 현대차가 조용히 전기차 시장을 독주하기 시작했다)"
미국 경제 미디어 블룸버그는 6월 25일 위의 제목으로 전기차 시장에서 선전 중인 현대기아차 기사를 올렸습니다. 블룸버그는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핫한 제품이 현대기아차에서 생산되고 있다고 보도했는데요. 올해 5월까지 현대기아차는 미국에서 2만1467대 자동차를 판매했습니다. 1만5000여대가 팔린 2위 포드 머스탱 마하E를 제치고 가장 많이 팔린 차에 올랐습니다.
물론 월평균 수만대가 팔리는 테슬라와 비교하면 현대기아차 시장 점유율은 미미합니다. 하지만, 미국 미디어와 시장 조사기업은 현대기아차의 빠른 시장 침투력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현대기아차가 전기차 시장에 파고 들 수 있었던 건 외부적인 요건도 많이 작용했습니다. 기후 문제와 휘발유 가격 급등으로 미국에서 전기차 채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더밀크 직원들도 하루가 멀다하게 오르는 휘발유 가격을 보며 전기차 구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막상 전기차를 사려면 살 만한 차가 없습니다. 미국에는 30개 정도의 전기차가 있는데 4만5000달러 미만인 차는 찾기 힘듭니다. 닛산 리프 등 작고 오래된 전기차만 저 정도 가격에 구매가 가능하데요. 현대 아이오닉5와 기아 EV6는 4만 달러에서 시작하는데다 준중형 SUV로 적재공간이 넓습니다. 테슬라 모델X의 절반 가격에 SUV 전기차를 살 수 있는 겁니다.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사람들이 전기차를 구매하고 있습니다. 미국 도로에는 2016년에 비해 6배 증가한 약 200만대의 전기차가 달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 차량 2억8000만 대 중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전기차는 이제 달리기 시작했고 아직 넘어야할 장애물이 많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과거 테슬라가 '생산 지옥'에 빠져 있다고 한 것이 전체 전기차 생산 업체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유가 상승에도 웃지 못하는 EV업계
기아차 1000만대 판매 달성 (출처:KIA America)
전기차 업계는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신음하고 있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 전기차를 구매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는데 공급이 어렵습니다.
EV 제조를 위한 공급망이 팬데믹에 이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더욱 혼란에 빠졌습니다. 전기차 원자재 비용이 팬대믹 기간 중 두 배 이상 증가했는데요. 시장조사기업 알릭스파트너스(Alixpartners)는 EV에 들어가는 평균 원자재 비용이 지난 5월 기준으로 대당 8255달러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2020년 3월 대당 3381달러에서 144%나 증가한 수치인데요. 이는 전기자동차와 배터리에 자용되는 코발트,니켈, 리튬과 같은 원자재 가격 상승 때문입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도 여전히 어렵습니다. 물론 내연기관 자동차 기업도 똑같은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요. 가솔린 자동차는 엔진, 안전,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위해 차량 1대당 100개 정도의 칩이 필요한데요. EV는 이보다 훨씬 많은 반도체가 들어갑니다. 고급 EV는 1000개 이상이 장착됩니다. 고객은 찾고 있는데 팔 수 있는 차가 없습니다.
EV 스타트업은 생존 사투
나스닥에 상장한 리비안 (출처 : GettyImages)
전기차 기업 하면 테슬라가 떠오릅니다. 제2의 테슬라가 되겠다는 기업이 미국 주식 시장에 줄줄이 상장했습니다. 이들은 최근 생존을 위한 사투 중입니다.
급변한 거시경제 상황으로 돈 줄이 마르고 있는데다 '전쟁' 불확실성까지 덮치면서 공급망 혼란이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쳤기 때문입니다. 높은 밸류에이션을 인정받았던 EV 스타트업 주가는 올해 들어 바닥을 치고 있는데요. 리비안 주가는 6월 24일 기준 29.50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올들어 72.45% 하락했습니다. 리비안은 지난해 11월 나스닥에 상장하며 172달러까지 주가가 오르기도했습니다. 루시드 주가 역시 50.28% 떨어졌습니다.
일렉트릭라스트마일솔루션(ELMS)은 최근 델라웨어 지역 파산 법원에 챕터 7 파산 절차를 신청했습니다. 스팩 상장을 통해 나스닥에 상장한 EV 기업 중 최초의 파산 신청 사례입니다.
지속가능한 EV 생태계로
전기차 판매가 늘어나며 폐 배터리도 늘어난다 (출처 : Gettyimages)
블룸버그NEF EV아웃룩 보고서는 2025년까지 전기차 판매가 두 배 이상 증가해 23%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수백만 대 전기차가 생산되고 또 폐기될 것입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적지만 환경 오염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습니다.
폐 배터리가 늘어납니다. 전기차 산업이 10년을 넘어가며 배터리의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논의가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2030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비율을 규제할 계획입니다.
한국 정부도 최근 민간과 함께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방식과 절차 표준화에 들어갔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전기차 배터리 분야 산학연전문가를 중심으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표준화 협의회'를 만들었는데요.
자동차 제조사와 관련 스타트업이 폐 배터리에 제 2의 삶을 부여하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어떤 시도를 하고 있을까요.
저는 13년 된 디젤차를 운행 중입니다. 출퇴근만 하다보니 9만 km 밖에 운행하지 않았지만 다음 차로 전기차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유가 부담도 있지만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디젤차는 이제 졸업해야 할 시간이 오고 있습니다.
오래된 아파트 단지라 충전 주차장이 없는데 얼마전 인근 공영 주차장에 충전소가 설치됐습니다. 강남 한 복판 주유소에 전기차 충전 시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전기차 주행거리는 내연차를 따라잡고 있습니다.
전기차가 소비자에게 현실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습니다. 산업이 성장하려면 다양한 장애물을 넘고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전기차는 감속과 가속을 반복하며 본격적인 레이스로 달려가고 있습니다.
더밀크 김인순 드림
더밀크에서는 뷰스레터를 구독해 주시는 독자분들의 피드백을 하나하나 소중히 읽고 있습니다. 재미있었던 내용, 고쳐야 할 것들, 어떤 것도 좋습니다. 여러분의 이야기를 남겨 주세요. 여러분의 애정 어린 피드백은 더밀크 팀에게 큰 힘이 됩니다.
신기주의 인사이트 스토리 3부작
(상) 팀 쿡에게 '넥스트 빅씽'은 무엇인가? (중) 팀 리인벤트 : 마법의 팀이 사라지자 팀 워크가 생겼다 (하) 미션 팀파서블 : 넥스트 빅 애플
지난 5월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지는 '2022 세계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을 선정하고 애플의 팀쿡 최고경영자(CEO)를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꼽았습니다.
타임지는 팀쿡의 선정 이유에 대해 "팀은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에서 현대의 어떤 CEO보다 더 넓은 범위의 리더십을 보여줬다. 애플의 제품과 정책은 세계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팀 쿡의 일은 비즈니스 뿐 아니라 철학적 지혜도 요구한다. 팀 쿡은 10년이 넘는 기간동안 애플을 지휘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CEO 중 한명이며 도적적 리더십, 기술적 상상력, 환경, 인도주의 모범으로 자리잡았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습니다.
더밀크는 지난 '셰릴' 시리즈에 이어 3회에 걸쳐 팀쿡의 리더십과 애플의 미래를 조망하는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신기주의 '인사이트 스토리' 입니다. 더밀크 독자 여러분들이 팀쿡과 애플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안녕하세요. 독자 여러분.
"Sorry Elon Musk. Hyundai Is Quietly Dominating the EV Race(일론 머스크 미안. 현대차가 조용히 전기차 시장을 독주하기 시작했다)"
미국 경제 미디어 블룸버그는 6월 25일 위의 제목으로 전기차 시장에서 선전 중인 현대기아차 기사를 올렸습니다.
블룸버그는 자동차 산업에서 가장 핫한 제품이 현대기아차에서 생산되고 있다고 보도했는데요. 올해 5월까지 현대기아차는 미국에서 2만1467대 자동차를 판매했습니다. 1만5000여대가 팔린 2위 포드 머스탱 마하E를 제치고 가장 많이 팔린 차에 올랐습니다.
물론 월평균 수만대가 팔리는 테슬라와 비교하면 현대기아차 시장 점유율은 미미합니다. 하지만, 미국 미디어와 시장 조사기업은 현대기아차의 빠른 시장 침투력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현대기아차가 전기차 시장에 파고 들 수 있었던 건 외부적인 요건도 많이 작용했습니다. 기후 문제와 휘발유 가격 급등으로 미국에서 전기차 채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더밀크 직원들도 하루가 멀다하게 오르는 휘발유 가격을 보며 전기차 구입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막상 전기차를 사려면 살 만한 차가 없습니다. 미국에는 30개 정도의 전기차가 있는데 4만5000달러 미만인 차는 찾기 힘듭니다. 닛산 리프 등 작고 오래된 전기차만 저 정도 가격에 구매가 가능하데요. 현대 아이오닉5와 기아 EV6는 4만 달러에서 시작하는데다 준중형 SUV로 적재공간이 넓습니다. 테슬라 모델X의 절반 가격에 SUV 전기차를 살 수 있는 겁니다.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사람들이 전기차를 구매하고 있습니다. 미국 도로에는 2016년에 비해 6배 증가한 약 200만대의 전기차가 달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체 차량 2억8000만 대 중 극히 일부에 불과합니다. 전기차는 이제 달리기 시작했고 아직 넘어야할 장애물이 많습니다. 일론 머스크가 과거 테슬라가 '생산 지옥'에 빠져 있다고 한 것이 전체 전기차 생산 업체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유가 상승에도 웃지 못하는 EV업계
기아차 1000만대 판매 달성 (출처:KIA America)
전기차 업계는 공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신음하고 있습니다. 그 어느 때보다 전기차를 구매하려는 수요가 늘고 있는데 공급이 어렵습니다.
EV 제조를 위한 공급망이 팬데믹에 이어 러시아-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더욱 혼란에 빠졌습니다. 전기차 원자재 비용이 팬대믹 기간 중 두 배 이상 증가했는데요. 시장조사기업 알릭스파트너스(Alixpartners)는 EV에 들어가는 평균 원자재 비용이 지난 5월 기준으로 대당 8255달러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 2020년 3월 대당 3381달러에서 144%나 증가한 수치인데요. 이는 전기자동차와 배터리에 자용되는 코발트,니켈, 리튬과 같은 원자재 가격 상승 때문입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도 여전히 어렵습니다. 물론 내연기관 자동차 기업도 똑같은 문제를 풀어야 하는데요. 가솔린 자동차는 엔진, 안전,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위해 차량 1대당 100개 정도의 칩이 필요한데요. EV는 이보다 훨씬 많은 반도체가 들어갑니다. 고급 EV는 1000개 이상이 장착됩니다. 고객은 찾고 있는데 팔 수 있는 차가 없습니다.
EV 스타트업은 생존 사투
나스닥에 상장한 리비안 (출처 : GettyImages)
전기차 기업 하면 테슬라가 떠오릅니다. 제2의 테슬라가 되겠다는 기업이 미국 주식 시장에 줄줄이 상장했습니다. 이들은 최근 생존을 위한 사투 중입니다.
급변한 거시경제 상황으로 돈 줄이 마르고 있는데다 '전쟁' 불확실성까지 덮치면서 공급망 혼란이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쳤기 때문입니다.
높은 밸류에이션을 인정받았던 EV 스타트업 주가는 올해 들어 바닥을 치고 있는데요. 리비안 주가는 6월 24일 기준 29.50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올들어 72.45% 하락했습니다. 리비안은 지난해 11월 나스닥에 상장하며 172달러까지 주가가 오르기도했습니다. 루시드 주가 역시 50.28% 떨어졌습니다.
일렉트릭라스트마일솔루션(ELMS)은 최근 델라웨어 지역 파산 법원에 챕터 7 파산 절차를 신청했습니다. 스팩 상장을 통해 나스닥에 상장한 EV 기업 중 최초의 파산 신청 사례입니다.
지속가능한 EV 생태계로
전기차 판매가 늘어나며 폐 배터리도 늘어난다 (출처 : Gettyimages)
블룸버그NEF EV아웃룩 보고서는 2025년까지 전기차 판매가 두 배 이상 증가해 23%가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수백만 대 전기차가 생산되고 또 폐기될 것입니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적지만 환경 오염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않습니다.
폐 배터리가 늘어납니다. 전기차 산업이 10년을 넘어가며 배터리의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논의가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유럽연합(EU)은 2030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비율을 규제할 계획입니다.
한국 정부도 최근 민간과 함께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방식과 절차 표준화에 들어갔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전기차 배터리 분야 산학연전문가를 중심으로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 표준화 협의회'를 만들었는데요.
자동차 제조사와 관련 스타트업이 폐 배터리에 제 2의 삶을 부여하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어떤 시도를 하고 있을까요.
저는 13년 된 디젤차를 운행 중입니다. 출퇴근만 하다보니 9만 km 밖에 운행하지 않았지만 다음 차로 전기차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유가 부담도 있지만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디젤차는 이제 졸업해야 할 시간이 오고 있습니다.
오래된 아파트 단지라 충전 주차장이 없는데 얼마전 인근 공영 주차장에 충전소가 설치됐습니다. 강남 한 복판 주유소에 전기차 충전 시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전기차 주행거리는 내연차를 따라잡고 있습니다.
전기차가 소비자에게 현실적인 선택지가 되고 있습니다. 산업이 성장하려면 다양한 장애물을 넘고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전기차는 감속과 가속을 반복하며 본격적인 레이스로 달려가고 있습니다.
더밀크 김인순 드림
신기주의 인사이트 스토리 3부작
(상) 팀 쿡에게 '넥스트 빅씽'은 무엇인가?
(중) 팀 리인벤트 : 마법의 팀이 사라지자 팀 워크가 생겼다
(하) 미션 팀파서블 : 넥스트 빅 애플
지난 5월 미국 시사주간지 타임(TIME)지는 '2022 세계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을 선정하고 애플의 팀쿡 최고경영자(CEO)를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꼽았습니다.
타임지는 팀쿡의 선정 이유에 대해 "팀은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업에서 현대의 어떤 CEO보다 더 넓은 범위의 리더십을 보여줬다. 애플의 제품과 정책은 세계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팀 쿡의 일은 비즈니스 뿐 아니라 철학적 지혜도 요구한다. 팀 쿡은 10년이 넘는 기간동안 애플을 지휘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존경받는 CEO 중 한명이며 도적적 리더십, 기술적 상상력, 환경, 인도주의 모범으로 자리잡았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습니다.
더밀크는 지난 '셰릴' 시리즈에 이어 3회에 걸쳐 팀쿡의 리더십과 애플의 미래를 조망하는 시리즈를 준비했습니다. 신기주의 '인사이트 스토리' 입니다. 더밀크 독자 여러분들이 팀쿡과 애플을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