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bile background

인재란 무엇인가? 기준이 바꾼다

2023-03-02

인재란 무엇인가? 기준이 바꾼다

  • 생성형 AI, 나를 전문가로 만든다  
  • 구글은 쉽게 지지 않는다  
  • 25년 일한 유튜브 CEO 사임

“방사선 전문의 교육은 중단하는게 맞다. 딥러닝의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은 5년 안에 사람보다 우수해지기 때문이다. 만약 당신이 방사선 전문의라면 아직 아래를 보지 못한 채 절벽 끝에 서있는 코요테와 같은 처지다”
-‘딥러닝의 아버지’ 제프리 힌튼(Geoffrey Hinton) 토론토대 교수 

뷰스레터 구독자 여러분, 안녕하세요. 오픈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요즘은 챗GPT 이야기 뿐입니다. 얼마전 제 어머니도 챗GPT가 뭐냐고 물으셨습니다. 자연과 운동, 드라마를 벗삼아 사는 어머니께도 챗GPT는 매우 흥미로운 뉴스였습니다. 사용법을 알려드렸더니 일흔에 가까운 연세에도 금새 익혀 한참이나 챗GPT와 대화를 주고 받으셨습니다. 새로운 벗이 하나 생겼습니다. 출시 두 달 만에 1억명 이상의 가입자를 달성할 만큼 AI의 대중화 속도가 무섭습니다.

제프리 힌튼 토론토대 교수는 딥러닝(Deep Learning, 기계학습 기술 종류 중 하나인 인공신경망을 수많은 계층 형태로 연결하는 기법) 개념을 창시했습니다. 그는 2016년에 "방사선 전문의(Radiologist)는 사라질 것이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방사선 전문의 수요는 큽니다. 오히려 지금은 '공급부족' 현상으로 미국의 각 병원에서는 신음을 앓고 있습니다. 2033년까지 4만2000명이 부족하다고 합니다.

왜일까요? 새로운 기술에는 기술 그 자체보다 해당 기술이 어떤 형태로 이 사회에 적용되는지에 따라 수많은 변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소위 '최고 전문가'나 '산업의 아버지' 조차 내일을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정확하고 빠르게 현실을 인식하고 대응해야할 것입니다.

더밀크는 생성형AIk가 촉발한 'AI 혁명'의 오늘을 분석하고 내일을 전망하는 ‘AI 아카데미 : 실리콘밸리에서 본 GPT 혁명’ 웨비나를 마련했습니다. 오늘은 지난 17~18일 진행한 1차 아카데미 강연 내용을 소개합니다. 

제프리 힌튼 토론토대 교수의 2016년 발언 (출처: 트위터 화면캡처)

생성형 AI, 나를 전문가로 만든다

(그래픽: 김현지)

더밀크 AI 아카데미 첫번째 연사로 선 국내 대표 게임사 엔씨소프트의 윤송이 사장은 명실공히 AI 전문가입니다.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MIT에서 신경과학 뇌인지과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죠. 2008년 엔씨소프트에 합류한 후에는 약 200명 규모의 AI 관련 조직을 운영하며 본인의 연구개발 성과를 기업 경영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그는 "챗GPT가 촉발한 현재의 AI 발전은 상상을 초월한다"며 "연내 출시될 것으로 알려진 GPT-4의 등장이 유의미한 변곡점이 될 것이다"고 내다봤는데요. 일반인들도 사용하게 쉽게 만들어진 인터페이스로 인해 전문가들은 AI 조수를 두고 슈퍼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그는 “생성형 AI는 모든 사람을 크리에이터로 만들 수 있고 그에 따른 생각지도 못한 비즈니스 기회가 생겨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말그대로 ‘일반인은 준전문가로, 전문가는 슈퍼 전문가’가 되는 시대가 오고 있습니다.

윤 사장은 AI가 우리 사회의 인재상도 바꿔놓을 것이라고 단언했는데요. 그가 생각하는 AI 시대에 맞는 인재상은 어떻게 바뀐다는 것일까요? 

새로운 인재상의 제1조건

구글은 쉽게 지지 않는다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현황 (출처 : 이홍래 구글 리서치 과학자)

챗GPT 등장으로 오픈AI만큼 많이 거론되는 기업은 구글일 것입니다. 대화형 챗봇이 구글이 만든 지금의 검색 시장을 완전히 재편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실제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오픈AI에 선제적인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며 자사 서비스에 챗GPT를 적용하는 등 발빠른 대응을 하고 있습니다. 구글에서 일하는 직원들은 이러한 주장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까요?

더밀크 AI 아카데미 두번째 연사로 나선 이홍래 구글 리서치 과학자는 “구글이 간단하게 질 것 같지는 않다”고 단언했습니다. 그는 “이제 막 시제품이 나온 정도이고 재미있는 싸움은 지금부터”라며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전쟁이 작은 사태로 일어났던 것처럼 AI판 백년전쟁의 서막이 오른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 박사는 구글에서 10년 이상 자연어 처리와 초거대언어모델(LLM) 연구를 주도해온 인물인데요. 찐 전문가인 만큼 현장의 생생한 이야기와 함께 우리가 AI 기술을 논할 때 알아두면 좋은 핵심 기술에 대해서도 쉽게 설명했습니다. 혹시 딥러닝과 LLM, 트랜스포머 등 기술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움츠러드시나요? 이 기사를 보면 여러분도 이제 챗GPT 만큼 알 수 있습니다.

챗GPT의 핵심기술 셋

2주차 세미나 : GenAI 디브리핑 


지난주에 이어 '실리콘밸리에서 본 GPT 혁명'을 주제로 AI 아카데미(웨비나 시리즈) 2주차 웨비나는 한국시간 2월 24일 금요일과 2월 25일 토요일 양일간 오전 10시부터 약 1시간 반 동안 진행됩니다.

오는 24일 세션에서는 박원익 더밀크 테크팀장 겸 뉴욕플래닛장이 〈Generative AI in Business〉를 주제로 실리콘밸리의 AI유니콘 재스퍼의 GenAI 컨퍼런스를 디브리핑합니다. 약 1000명의 생성형 AI 엔지니어, 벤처캐피털 및 관계자들이 총출동한 제스퍼의 GenAI 컨퍼런스는 생성형 AI의 현재 기술을 가장 핵심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던 이벤트였습니다. 이날 컨퍼런스를 총정리 해드립니다.

25일 세션에서는 김병학 아카사 AI 테크놀로지 리드가 〈Gen-AI in Silicon Valley Startups〉를 주제로 아카사를 비롯해서 지금 급성장하고 있는 실리콘밸리 AI 스타트업들의 소개합니다. 현재 실리콘밸리 AI 의료 데이터 유니콘 기업에서 AI 산업을 근무하는 김병학 리드는 GenAI 스타트업을 정리하면서 현장에서는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브리핑할 예정입니다.

[더밀크 AI 아카데미] 2차 웨비나
주최 : 더밀크, 후원 : 몰로코
일시 : 2월 24일(금, 한국 오전 10시), 25일(토, 한국 오전10시)
장소 : 줌 웨비나(링크 별도 전송)
가격 : 일반 사용자: $15, 더밀크 연/월간 회원 무료
연사 : 박원익 더밀크 테크팀장, 김병학 아카사 AI 테크놀로지 리드

(주)이엠디넷

대표자 : 조종현 ㅣ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19,
1105호(가산동, 벽산디지털밸리6차) ㅣ TEL : 02-2627-3799 ㅣ
E-mail :manager@emdinet.com ㅣ사업장등록번호 : 220-86-77728


Copyright ⓒ EMDNET All rights reserved.  I  Hositing by I'MWEB

(주)이엠디넷

대표자 : 조종현 ㅣ 주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19, 1105호(가산동, 벽산디지털밸리6차)

TEL : 02-2627-3799 ㅣ E-mail : manager@emdinet.com ㅣ 사업장등록번호 : 220-86-77728


Copyright ⓒ EMDNET All rights reserved.  I  Hositing by I'MWEB